-
Python 문법 기초 5 - 묶음형 자료형(tuple)Python 2022. 10. 22. 15:09
# 묶음형 자료형 : tuple - list와 유사하나 읽기 전용(list 보다 속도 빠름) 순서 O, 수정 X t = ('a', 'b', 'c', 'd') t = 'a', 'b', 'c', 'd' # 소괄호는 생략해도 되지만 가독성을 위해 사용 권장 print(t, type(t), len(t), t.count('a'), t.index('b')) print(t[0]) # t[0] = 'k' # 'tuple'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<console> ('a', 'b', 'c', 'd') <class 'tuple'> 4 1 1 a
‘tuple’ 은 수정이 불가능하다.
imsi = list(t) print(imsi, type(imsi)) imsi[0] = 'k' t = tuple(imsi) print(t) <console> ['a', 'b', 'c', 'd'] <class 'list'> ('k', 'b', 'c', 'd')
꼭 수정해야한다면 위에처럼 list 로 바꾼 뒤에 수정 후 다시 tuple로 바꿔줘야 된다.
print((1), type((1))) print((1,), type((1,))) <console> 1 <class 'int'> (1,) <class 'tuple'>
숫자를 단수로 적으면 tuple 로 인정되지 않고 int 로 인정된다.
그러므로 tuple 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단수여도 뒤에 , 를 적어야한다.
t1 = (10, 20) a, b = t1 b, c = a, b t2 = a, b print(t2) <console> (10, 10)
t1 을 a와 b라는 변수에 각각 담은 뒤에 t2로 합치면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문법 기초 7 - 집합형 자료형(dict)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6 - 묶음형 자료형(set)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4 - 집합 자료형(list), 얕은 복사, 깊은 복사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3 - 집합 자료형(str)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2 - 연산자, 출력 서식, 치환, format함수 (0) 2022.10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