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Python 문법 기초 3 - 집합 자료형(str)Python 2022. 10. 22. 14:58
# 문자열 : str - 순서 0 : 인덱싱, 슬라이싱, 수정 x s = 'sequence' print(s, type(s), len(s)) print(s.count('e')) // e의 갯수를 호출하는 함수 print(s.find('e'), ' ', s.find('e', 3), s.rfind('e')) // s.find('e', 3)은 3번째 인덱스부터의 e의 자리를 호출 # 수정 불가 ss = 'mbc' print(ss, id(ss)) ss = 'abc' print(ss, id(ss)) # 인덱싱, 슬라이싱 대상[start:stop:step] print(s[0], s[3]) # s[8] err 8번째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. print(s[-1], s[-3]) // 인덱스 자리에 음수를 넣으면 뒤에서부터 읽는다. print(s[0:3], s[3:], s[:3], s[:], s[1:5:2], s[::2]) print(s[-4:-1], s[-3:]) print('fre' + s[2:]) <console> sequence <class 'str'> 8 3 1 4 7 mbc 1568788553264 abc 1568787259824 s u e n seq uence seq sequence eu sqec enc nce frequence
3번째 줄의 len 은 수를 나타낸다.
수정은 불가능한데 밑의 abc 로 수정을 한 것 처럼 보이지만 id 값 즉, 사물함 주소는 같지 않다. 그러므로 이것은 수정이 아니라 다른 참조값을 가져온 것에 불과하다. 다른 값이 되어버리는 것.
19번째 줄의 s[3:] 은 3번째 줄부터 전부 , s[:3]는 3번째줄까지의 전부를 의미한다.
슬라이싱의 대상은 [start : stop : step]이다.
s[0:3]은 0번째 인덱스부터 2번까지로 3번은 포함되지 않는다.
print() s2 = 'kbs mbc' s2 = ' ' + s2[:4] + 'sbs ' + s2[4:] + ' ' print(s2, len(s2)) print(s2.strip()) # lstrip(), rstrip() 왼쪽 여백 혹은 오른쪽 여백만 자르기 s3 = s2.split(sep=' ') print(s3) print(':'.join(s3)) <console> kbs sbs mbc 13 kbs sbs mbc ['', 'kbs', 'sbs', 'mbc', ''] :kbs:sbs:mbc:
strip() 함수는 양쪽 여백을 잘라준다.
sprit 을 사용하면 sep 을 기준으로 잘라준다.
join함수는 ‘:’을 기준으로 합치는 것이다. ‘:’는 변경 가능
a = 'Life is too long' b = a.replace('Life', 'Your leg') print(b) <console> Your leg is too long
replace 함수는 해당 문자열을 수정하는 것이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문법 기초 5 - 묶음형 자료형(tuple)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4 - 집합 자료형(list), 얕은 복사, 깊은 복사 (0) 2022.10.22 Python 문법 기초 2 - 연산자, 출력 서식, 치환, format함수 (0) 2022.10.21 Python 문법 기초 1 - 변수의 type, 주소값(사물함 키), 예약어, 자료형 (0) 2022.10.21 Python 실습방법 3가지 (0) 2022.10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