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자바 step1 - 기본 8가지 타입Java 2022. 10. 24. 18:25
package test.main; public class MainClass01 { /* * [ Java 기본 데이터 type ] * * 1. 숫자형 * * 정수형 : byte, short, int, long * * - byte 변수명; // -128 ~ 127 * - short 변수명; // -32768 ~ 32767 * - int 변수명; //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* - long 변수명; // -9223372036854775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 * * 실수형 : float, double * * - float 변수명; // 1.40129846432481707e-45 ~ 3.40282346638528860e+38 * - double 변수명; //4.94065645841246544e-324d ~ 1.79769313486231570e+308d */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ystem.out.println("main 메소드가 시작 되었습니다."); // 정수형 변수 선언하고 값 대입하기 byte iByte=10; short iShort=10; int iInt=100; long iLong=10; /* int type 변수에 byte type 변수에 담긴 내용을 대입한다면? * - 표현 가능 범위가 좁은 변수에 담긴 값을 표현 가능 범위가 더 넓은 변수에 * 대입 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* - 따라서 에러를 발생 시키지 않는다. */ int tmp=iShort; /* * 표현 가능한 범위가 더 넓은 변수에 담긴 내용을 대입 하려면 * 명시적으로 casting 을 해야한다. * ( type ) 은 type casting 연산자이다. */ byte tmp2=(byte)iInt; // 실수형 변수 선언하고 값 대입하기 float num1=10.1f; double num2=10.2d; double num3=10.3; // d, f 를 붙이지 않으면 double type 으로 간주 된다. double tmp3=num1; // casting 연산자가 필요하다. float tmp4=(float)num2; } }
자바의 기본데이터 타입은 8개이다.
먼저 정수타입으로는 4가지가 있는데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지정되어 있다.
순서대로 long > int > short > byte 순으로 더 큰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. 보통 int를 많이 사용한다.
다만, 위의 순서대로 메모리가 용량을 조금 더 먹기 때문에 작은 수를 사용할 때는 byte나 shor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그 다음으로 float과 double이 있다. 실수 타입이다.
정수와 마찮가지로 double > float 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더 크다.
정수의 int와 마찮가지로 실수에서는 double을 많이 사용한다. 다만 역시 메모리 용량을 조금 더 먹기때문에 작은 수는 float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
char 타입은 문자 한 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. 예를 들어 'a', '가', 1 이런식이다.
boolean 타입은 참, 거짓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.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로 나타낸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step1 - 기본 8가지 타입(문자형(string), ) (0) 2022.10.24 자바 step1 - 기본 8가지 타입(정수, 실수, 논리형, 문자형(char)) (0) 2022.10.24 자바 기초 2 - 콘솔창에 문자열 출력하기 (0) 2022.10.24 이클립스 설치(초기설정) (0) 2022.10.24 자바 기초 1 - 자바의 특징 (0) 2022.10.24